경제 뉴스 & 분석

트럼프 관세 폭탄이 만든 금융시장 ‘둠 루프’ 위기 지금 무슨 일이?

scottkim9976 2025. 4. 9. 12:32
반응형


관세 폭탄


며칠 전, 4월 2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대중국 추가 관세 조치가 세계 경제를 흔들고 있습니다. 처음엔 "또 정치적인 발언 아니야?" 싶었는데, 그 여파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전 세계 주식 시장이 하락하고, 안전자산인 금과 국채까지 떨어지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요. 저도 투자 중이라 하루에도 몇 번씩 주식 앱을 켜보게 되네요. 그런데 문제는 단순한 주가 하락이 아니라, 금융 시장의 위험한 악순환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관세 폭탄

'둠 루프(Doom Loop)'가 뭐길래 이렇게들 걱정할까?

‘둠 루프’라는 말, 처음 듣는 분들도 있을 거예요. 이건 마치 눈덩이가 굴러가며 커지는 것처럼, 한 가지 문제가 또 다른 문제를 낳고, 그게 다시 돌아와 더 큰 문제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뜻해요.
쉽게 예를 들어 볼게요:
• 주식이나 채권 가격이 떨어지면
• 투자자들은 빌린 돈(레버리지)을 메우기 위해 ‘마진콜’을 받습니다
• 돈을 더 넣을 수 없으면 강제로 보유한 자산을 팔게 되죠
• 그러면 시장에 자산이 쏟아지면서 가격이 더 떨어져요
• 다시 마진콜 → 자산 매도 → 가격 하락… 반복
이런 식으로 시장이 계속 흔들리는 거예요. 지금 일부 전문가들은 이 흐름이 이미 시작됐다고 보고 있는 거죠.
진짜 심각한가요? 어떤 증거가 있나요?

관세 폭탄

1. 헤지펀드들이 대규모 마진콜을 받고 있습니다

월가의 큰손들조차 지금 자금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FT(파이낸셜 타임즈)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의 마진콜이 진행 중이라고 해요.

관세 폭탄

2. 금도 급락했습니다

보통 시장이 불안하면 금 가격이 오릅니다. 그런데 지금은 반대입니다. 투자자들이 급하게 현금을 마련하려고 금마저 파는 상황이라는 거예요. 쉽게 말해, 집에 불이 나니 가장 귀한 물건부터 들고 나오는 상황이죠.

3. 미국 국채도 흔들렸습니다

국채는 거의 ‘국가 보증 수표’ 같은 안전자산인데, 이것도 하락했다는 건 전반적인 신뢰와 유동성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입니다.
비슷한 일이 과거에도 있었나요?
네, 대표적인 사례가 두 가지 있습니다.
• 2021년 아케고스 캐피탈: 한 헤지펀드가 주식 투자를 무리하게 했다가, 주가 하락 → 마진콜 → 폭탄 매도 → 시장 혼란이라는 악순환을 낳았어요.
• 2022년 영국 국채 위기: 연금펀드들이 국채를 많이 보유했는데, 금리가 급등하자 평가손실이 커졌고, 이를 메우기 위해 자산을 급하게 팔면서 국채값이 더 떨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했죠.
이 둘 모두 처음에는 작은 불씨 같았지만, 결국 대규모 금융 불안을 낳은 사례입니다. 지금 시장도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게 무서운 점이에요.
VIX 지수 급등… 시장은 공포 모드
혹시 VIX 지수 들어보신 적 있나요?
이건 시장이 얼마나 불안해하는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지표인데, 최근 며칠 사이에 빠르게 올라갔습니다. 쉽게 말해, 투자자들이 앞으로 큰 변동이 있을 것 같다고 보험에 큰돈을 지불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런 때는 펀드나 기관들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고위험 자산을 급하게 파는 경우가 많고, 이게 또 시장 전체에 충격을 주는 구조로 이어집니다.
회사채 시장도 위험하다? 왜요?
회사채는 기업이 돈을 빌릴 때 발행하는 채권인데요, 지금처럼 시장이 불안하면 투자자들이 기업의 파산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합니다. 그럼 기업들은 더 높은 이자를 주고 빚을 내야 하죠.
이렇게 되면 기업들은 투자나 고용을 줄일 수밖에 없고, 결국 실물 경제까지 타격을 입게 됩니다.
즉, 금융시장의 불안이 현실 경제로 번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관세 폭탄

중앙은행은 뭘 하고 있을까?

보통 이런 위기 때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춰서 시장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좀 다릅니다.
트럼프의 관세로 인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연준이 쉽게 금리를 낮추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성급히 움직였다간 인플레이션이 다시 튀어오를 수 있어서죠.
그래서 파월 의장은 **“좀 더 명확한 상황을 보고 결정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어요.

지금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저는 요즘 다음과 같은 점들을 꼭 확인하고 있습니다:

• 현금 보유 비중을 늘리고

• 금, 달러, 단기채권 같은 안전자산을 살펴보고

• 고위험 자산 비중을 줄이며

• 레버리지나 마진 투자 비중을 확 낮췄습니다

이런 상황에선 **"무리하게 수익을 노리기보단, 내 자산을 지키는 게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관세 폭탄

지금은 "위험 관리를 강화할 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단순한 정치 뉴스가 아닙니다. 금융 시장 전체에 걸쳐 '연쇄 충격'을 불러올 수 있는 폭탄이었고, 실제로 여러 지표들이 지금 위험 신호를 내고 있습니다.
앞으로 며칠, 몇 주간의 시장 흐름을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아직 본격적인 위기가 시작된 건 아닐 수 있지만, 준비하고 대응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점점 커질 것입니다.

관세 폭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