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1인 가구 주택 트렌드 및 집 구하는 방법

scottkim9976 2024. 11. 24. 22:07
반응형



1인 가구 주택 현황

2024년 KB경영연구소의 '한국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1인 가구가 여전히 '내 집 마련'을 꿈꾸고 있으며, 적절한 주택 매입 금액으로는 3~4억 원을 생각하는 이들이 가장 많았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인 가구의 **38.4%**는 연립∙다세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아파트(30.7%)와 오피스텔(22.2%)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2022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아파트 거주 비율이 36.2%에서 30.7%로 감소하고, 연립∙다세대주택 거주 비율이 3.1%포인트 증가한 것이 특징적입니다.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약 315만 원으로, 이 중 **40.8%**를 생활비로 지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활비 중 월세∙관리비 비중은 22.7%로 2년 전보다 2.4%포인트 증가했으며, 오피스텔 거주자의 경우 월 소득 대비 생활비 비중이 39.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인 가구의 주거 형태는 **월세 거주(45.1%)**가 가장 많고, 전세(30.0%)와 자가 거주(21.8%)가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월세 거주 비율은 2022년 대비 8.9%포인트 증가한 반면, 자가 거주자와 전세 거주자는 각각 감소했습니다.

1인 가구 집 구하기: 체크리스트

1인 가구가 집을 구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조건을 정리했습니다. 개인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1. 위치 선정


1인 가구의 주거지 위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출퇴근/등하교 거리: 직장이나 학교까지의 거리와 이동 시간은 필수 확인 사항입니다. 자차를 이용한다면 출퇴근 시간대 교통 상황을 내비게이션 앱(티맵, 카카오맵 등)으로 사전에 확인하세요.

대중교통 접근성: 버스 정류장과 지하철역까지 도보로 걸리는 시간과 배차 간격을 체크하세요. 특히, 아침시간 대중교통 혼잡도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변 인프라: 주변 편의시설(편의점, 마트, 병원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미리 확인하세요.




2. 주변 시설


편의점: 1인 가구는 간단한 생활 용품을 구매하거나 음식 배달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가까운 편의점이 유용합니다. 쓰레기봉투 구매와 같은 일상적인 필요도 편리합니다.

코인빨래방: 자취 방에 세탁기가 없는 경우 근처에 코인빨래방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식당: 근처에 식당이 많다면 소음 및 유동인구 문제를 고려하세요. 1층에 식당이 있는 건물은 냄새와 환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쓰레기장: 배달음식이 잦은 1인 가구의 경우 재활용 쓰레기 배출이 많습니다. 쓰레기장이 가까운지, 이용이 편리한지 확인하세요.



3. 편의시설


주차장: 자차를 보유한 경우 건물 내 주차 공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원룸이나 오피스텔 건물의 경우 주차 공간이 협소하거나 가게와 주차장이 겹쳐 불편할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오피스텔은 기본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있지만, 원룸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3층 이상 거주 시 엘리베이터 유무가 중요합니다.

보안: 방범 카메라, 출입구 보안 장치, 현관문 이중 잠금장치 등의 유무를 확인해 안전성을 높이세요.


4. 관리비 및 추가 비용


월세 외에도 관리비와 기타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리비에 포함된 항목(수도요금, 인터넷, IPTV 등)을 확인하세요.

관리비와 월세를 합산한 금액을 총 주거비용으로 계산하여 예산을 계획하세요.

전기료 및 가스요금은 별도로 청구되는 경우가 많으니 이에 대한 대략적인 금액도 파악해야 합니다.


5. 사전 조사 및 부동산 활용


로드뷰 확인: 낯선 지역의 분위기를 인터넷 로드뷰(구글 맵, 네이버 맵 등)로 미리 확인하세요.

부동산 방문: 직접 부동산에 방문해 자신이 원하는 조건을 명확히 전달하세요. 원하는 사항을 미리 체크리스트로 정리해 두면 효율적입니다.


1인 가구는 점점 늘어나며 다양한 주거 환경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예산에 맞는 최적의 주거지를 찾길 바랍니다.

반응형